전체 글(62)
-
광복절 조선인들이 환호하지 못한 이유
1945년 8월 15일. 경성에서는 대한제국 초대 황제인 고종의 손자, 의친왕의 장남 이우의 장례식이 예정되어 있었다. 이우는 일본에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군으로 복무하고 있었는데 미국이 일본에 투하한 핵폭탄 폭발에 휘말려 34살의 나이로 사망한다. 그러나 8월 15일 12시에 진행되기로 한 이우 왕자의 장례식은 갑자기 연기된다. 일본이 12시에 중대 발표를 하겠다고 긴급 속보를 내렸기 때문이다. 긴급 속보는 일본이 아시아 태평양 전쟁에서 항복하겠다는 내용이었다. 그토록 바랬던 광복의 순간, 환호로 가득 찰 거 같았던 경성의 거리는 쥐 죽은 듯이 고요했다. 라디오로 전해진 일본의 항복선언이 일본 왕실에서 사용하는 어려운 어휘와 안 좋은 음질로 조선인들이 이를 알아듣지 못했기 때문이다. 조선 해방..
2023.10.09 -
소현세자, 조국에 환영받지 못하다
1636년 병자년 청나라와의 병자호란에서 조선은 패하였고, 조선의 왕인 인조는 오랑캐라 부르던 청나라에게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리는 굴욕을 당한다. 인조의 첫째아들 소현세자는 조선이 패한 댓가로 청의 요구에 따라 부인과 신하, 신하의 가족들과 함께 청으로 끌려간다. 조선과 청의 관계 조선의 외교는 사대 외교였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받들어 섬긴다는 사대 외교를 펼치던 조선은 명나라를 섬기고 후금(청, 여진족)을 배척하는 사상이었다. 그런데 청나라가 점점 세력을 키워나가며 명을 견제하기 위해 조선을 청의 편으로 만드려고 하자, 조선은 이를 거부하였고 청은 조선을 침략해온다(병자호란). 병자호란에서 승리한 청나라는 조선에 1) 명과의 관계를 끊고 청의 연호를 쓸 것. 2) 청의 출병 요청에 원군을 파견..
2023.10.06 -
이방원은 왜 어머니의 무덤을 파헤쳤을까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 이성계의 집안은 홍건적과 왜구로부터 고려를 지킨 영웅가문이다. 이성계는 고려 변방의 떠오르는 신흥 무신이었는데 권문세족의 영향으로 중앙 정계 진출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그런데 이성계가 권문세족 집안의 딸인 강 씨와 결혼하며 이성계는 무력, 경제력, 명예까지 갖춘 세력으로 발돋움하게 된다. 이성계는 첫 번째 아내 한 씨와 8명, 두 번째 강 씨 사이에 3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집안에서 자신 무신의 한계를 극복한 문신이 나와 집안에 도움이 되기를 바랐다. 이성계는 아들 중 가장 총명했던 한 씨의 아들 이방원을 8살에 개경으로 유학을 보낸다. 어린 나이에 타지로 유학을 떠나게 된 이방원은 유학 동안 강 씨의 집에 머물게 된다. 강 씨는 이방원을 친아들처럼 챙기고 아꼈는데 이런 강 씨의 ..
2023.09.19 -
고려 역사 세계최강 몽골에 맞선 고려인
몽골군이 작은 나라인 고려를 공격한 이유 몽골은 인류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한 나라다. 당시 몽골군은 모든 나라에 공포의 대상이었고, 정복한 지역민들을 포로로 잡아 위장하여 그 규모와 위용을 더욱 키워나갔다. 아시아를 넘어 유럽으로 영토를 확장하던 몽골이 어느 날 조그만 나라인 고려를 침략한 이유는 고려에 사신으로 보낸 저고여가 고려에 방문 중 사망하였기 때문이다. 고려가 저고여를 죽였다고 생각한 칭기즈칸은 저고여 사망 6년 후인 1231년, 3만의 병력을 이끌고 고려를 침략한다. 고려와 몽골 사이의 전쟁인 여몽 전쟁은 30년간 6차례에 걸친 전쟁으로, 한반도 역사상 가장 긴 전쟁으로 기록되어 있다. 몽골이 저고여 사망 후 바로 침략하지 못한 이유는 당시 서방 원정 중이던 칭기즈칸이 1227년에 ..
2023.09.17 -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는 뒤주에 갇혀 죽었다
사도 세자의 탄생 1762년 사도세자의 탄생은 영조의 큰 기쁨이었다. 사도세자는 영조가 42세의 늦은 나이로 얻은 늦둥이 아들이다. 영조는 25살에 효장세자를 얻었는데 효장세자가 10살 때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후계자가 중요한 왕실에서 첫아들을 잃은 슬픔과 후계자가 없어 초조했던 영조에게 효장세자 이후 7년 만에 얻은 아들이었다. 사도세자의 탄생은 영조뿐 아니라 조선의 기쁨이 되었고, 사도세자는 돌이 막 지났을 무렵 조선 역대 최연소의 세자로 책봉이 된다. 사도는 3세 때부터 왕세자 교육을 시작하였는데 그의 총명함과 영특함에 영조와 신하들은 한없이 기뻤다고 한다. 사도의 타고남도 있겠지만, 영조는 늦둥이 아들 육성에 총력을 다했다고 전해진다. 영조가 사도의 조기교육에 집착한 이유는 자신의 콤플렉스 때문..
2023.09.16 -
환관 조선 천민의 신분상승 방법
환관은 왕실의 수족으로 왕을 가장 가까이에서 모시는 보이지 않는 권력의 중심이었다. 환관은 왕의 측근으로서 상당한 부와 권력을 누렸는데, 이런 환관이 되기까지 견뎌야 하는 고통은 상상 이상이었다. 하지만 조선의 양반부터 천민까지 환관이 되기를 원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서의 환관 벼슬을 하는 관리라는 뜻의 환관은 남성성을 상실했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조선의 환관은 '내시'라는 또 다른 이름이 있었는데, 고려 시대의 환관과 내시는 의미가 달랐지만, 조선시대에 와서는 동일해진다. 조선 시대의 환관은 왕실 사람의 시중을 들거나, 왕과 신하 사이에서 나랏일을 수행했다. 노비와 신하들이 있음에도 환관이 필요했던 이유는 왕의 여자들 때문이었다. 왕비와 후궁 외에도 궁궐 내에는 궁녀인 여자들이 많았기에 남성성을 잃..
2023.08.03